스터디레시피

스터디레시피 상세보기
제목 탄산음료를 끊는 방법 4가지
조회수 240

“건강하게 오래 살고 싶다면 탄산음료를 끊으라”

탄산음료에 관한 많은 연구의 결론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이렇다.

최근 유럽 연구진이 45만 명을 추적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하루 탄산음료를 두 잔 마신 사람은 한 잔 이하로 마신 이보다 사망 위험이 컸다. 여기서 잔의 크기는 8온스, 약 240mL다.

문제는 탄산음료에 든 당분이다. 콜라 한 캔에 든 설탕은 35g, 티스푼으로 9숟가락이나 된다.

‘다이어트’란 수식어가 붙은 제품은 어떨까? 이런 제품은 대개 설탕 대신 인공감미료를 쓴다. 직접적으로 혈당에 영향을 주진 않는 셈. 그러나 이 물질은 같은 양의 설탕보다 단맛이 100배가량 강하다. 전문가들은 그 단맛에 익숙해지면 점점 더 단 음식을 갈구하게 된다고 경고한다.

인공감미료가 뇌졸중, 우울증, 복부비만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역시 이른바 ‘다이어트 ○○’ 음료를 자제해야 하는 이유다.

미국 ‘위민스 헬스’가 탄산음료를 끊는 방법을 정리했다.

◆ 단계적으로 = 급격한 변화는 지속가능한 습관을 만드는 좋은 방법이 아니다. 갑자기 끊는 것보다는 양과 빈도를 서서히 줄이는 게 좋다. 매일 한 병씩 먹는 사람이라면, 일주일에 4일만 그렇게 하겠다는 목표로 출발하는 것도 방법이다.

◆ 부작용 대처 = 콜라 등 카페인이 든 탄산음료를 줄이면, 카페인 금단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물을 충분히 마시고, 잠을 충분히 자야한다. 균형 잡힌 식단과 운동도 도움이 된다.

◆ 인내 = 탄산음료를 끊으면 다른 단 음식이 당긴다. 몸이 대체물을 찾는 것. 탄산음료가 부족해진 상황에 아직 입맛이 적응하지 못한 탓이다. 개인차는 있지만 적응에 대개 몇 주일이 걸린다. 적응의 속도는 점점 빨라지기 때문에 초기에 인내심을 발휘하면 후반은 상대적으로 견디기 쉽다.

◆ 포기 금지 = 탄산음료를 끊는다고 해서 아예 안 먹을 필요는 없다. 다만 규칙적으로 마시는 의존성을 차단하는 것이다. 어쩌다 마시는 탄산음료 때문에 죄책감을 느낄 필요는 없다. 즉 실천 가능한 계획을 세우고 끝까지 밀어붙이되, 간혹 발생하는 불가피한 상황 때문에 계획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 기사 출처: No1. 건강포털, 코메디닷컴 (www.kormedi.com)ㅣ사진 출처: belchonock/gettyimagebank
목록보기